본문 바로가기
ОКБ (실험 설계국)/IT Project

6. [IDPW Post Development] IDPW 베타 버전 사용 결과 정리

by Rosmary 2020. 6. 28.
728x90
반응형

1. 베타 버전 사용 결과 간략 요약

 

-  프로그램 총 사용 시간:  30분 / 30일

-  최초 사용 후 발견된 버그, 에러, 또는 문제점

   *  브라우저 드라이버 업데이트로 인한 자동 로그인 불가 현상 발생(Chrome 80 -> Chrome83 버전)

   *  자동 로그인 사이트 정보의 수동 입력. 새 사이트 개설 시, 해당 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파일에 수동으로 입력해야 함.

   *  가독성이 떨어지는 CLI 방식의 프로그램

 

-  상업성:  매우 부족

-  배포 여부:  개인 사용으로 한정

 

 

2. 사용 결과 고찰

 

장기 프로젝트 중 하나였던, 인터넷 사이트 계정 정보 관리 프로그램 제작을 마무리한 뒤, 지금까지 사용하며 추가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상태다. 필자가 개인 프로젝트로 제작한 이 프로그램을 사용하면서 느끼는 점은, 필자 혼자 사용하기에는 적절한 프로그램일지 몰라도, 일반인을 대상으로 배포하거나 상업 판매를 진행하기에는 부적절하다는 것이다.

 

우선, 현대인들 대부분이 노트북이나 데스크탑 대신 스마트폰으로 일상의 일들 - 영화를 예매하거나, 택배를 주문한다던가 - 을 진행하는데에 익숙하고, 심지어 사용자의 앱 계정은 대부분 앱 자체에서 기억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필자가 만든 프로그램을 사용할 일이 거의 없다. 상업적인 목적으로 판매를 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해당 프로그램이 사용자에 의해 일정 시간 이상 사용될 것이라는 보장이 있어야 할 터인데, 제작한 프로그램은 프로그램의 특성 상, 계정을 잊어버렸을 때 찾는 용도로 잠깐 사용하는 것 외에는 사용할 일이 없다. 필자도 30일동안 30분만 사용했을 정도이니...

 

물론, 스마트폰을 분실하거나 고장으로 교체하게 된다면 제작한 프로그램이 어느정도 빛을 발하겠지만, 요즘 스마트폰은 현대인들의 삶에서 떼어놓고 볼 수 없는 물건이다보니... 이런 일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 

 

두 번째로는 이 프로그램을 사용하기 위해 모아야 하는 데이터의 양이 너무나 방대하다는 점이다. 필자의 프로그램은 특정 파일에 사이트 주소 및 해당 사이트의 로그인 주소를 기억하고 있는데, 이 파일에 기록되지 않은 사이트는, 이 프로그램의 자동 로그인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 필자의 프로그램이 이 사이트 정보들을 자동으로 작성해주면 더할 나위 없이 좋겠지만, 아직까지는 이 내용을 직접 수동으로 입력해주어야 한다. 물론, 이 역시 사용자들에게 일임할 수 있겠지만, 일반 사용자들이 이러한 불편함까지 감수하면서 프로그램을 사용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마지막으로... 정말 개선이 필요한 부분인데, 바로 프로그램 화면의 가독성이 매우 떨어진다는 것이다. 대부분이 윈도우로 컴퓨터를 접하는 것이 익숙하다보니,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숫자를 입력해가면서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마치 도스와 같이 동작하는 필자의 프로그램이 익숙하지는 않을 것이다. 특히, 비밀번호를 입력할 때는 입력 커서마저 보이지 않기 떄문에, 컴퓨터를 잘 모르는 사용자는 "고장난 것이 아닌가"라는 생각을 하기도 하고 말이다...

 

 

 

3. 프로그램의 향후 사용처

 

고민 끝에, 제작한 프로그램은 필자 혼자 사용하기로 하고, 따로 배포하거나 판매는 진행하지 않기로 했다. 필자마저도 정말 필요할 때만 드나드는 프로그램이니, 다른 사용자들이 무료로 다운받는다고 해도, 이 프로그램이 사용될 일이 거의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번 프로젝트가 실패했음에도, 프로그램 개발 시 중점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사항을 확실하게 배울 수 있었는데, 누군가에게 필요한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서는 사용자들이 처한 환경을 먼저 분석해야 한다는 점, 그리고 해당 프로그램이 사용자의 필요성에 부합하면서도 편의성을 제공해야한다는 것이다. 

 

다음 장기 프로젝트에서는 위와 같은 배움을 바탕으로 조금 더 좋은 프로그램을 만들어보려고 한다.

 

 

FIN.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