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 Arduino - 1digit 7세그먼트 LED 사용법
일상 생활 중에 흔히 마주치는 엘레베이터나 전자 시계에서, 위의 사진처럼 각진 숫자를 볼 수 있다. 이런 형태의 숫자를 표시하는 전자 부품이 존재하는데, 7 세그먼트 LED라고 불린다. 7 세그먼트 LED는 "7 부분으로 나뉘어진 LED"라고 생각하면 되는데, 아래의 사진처럼, 부품 내에 한 자리 숫자를 표현하는 LED가 7개가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한 자릿수를 표시하는 7 세그먼트 LED의 사용법에 대해 작성하려고 한다. 사실, 일반 LED를 사용하는 방법을 알고 있다면, 7세그먼트의 사용법도 크게 어렵지는 않을 것이다. 7개의 LED를 동시에 작동시켜야하기 때문에, 회로와 동작 코드가 일반 LED에 비해 조금 더 복잡할 뿐이다. 다만, 7 세그먼트 LED의 종류에 따라, 회로 ..
2019. 11. 16.
16. Arduino - 광센서 원리 및 사용
지난 온도 센서 시험 실패 이후로, 약간은 의기소침해져 있던 상태에서, 다른 센서를 회로에 넣어 돌려보기로 했다. 이번에 실험할 부품은 광센서로, 이름 그대로 빛의 세기에 반응하는 센서라고 보면 된다. 이 센서는 광전효과라고 불리는 물리 현상을 이용한다. 광전 효과에 대해 이해하려면, 물리학에서 빛이라는 녀석이 어떻게 정의되어왔는지, 그 역사를 잠깐 살펴보는 것이 좋다. 1. 빛이란 무엇인가... 언제까지였는지 정확히 기억이 나지 않지만, 빛이라는 녀석은 단순히 파동으로만 정의가 되던 때가 있었다. 토마스 영이라는 사람이, 매우 어두운 상자 내에, 2개의 전구를 켠 채로 넣어두고, 그 상자에 아주 작은 구멍 2개를 뚫어 빛이 어떻게 발산되는지 실험한 적이 있다(이중 슬릿 실험). 실험의 결과로, 두 구멍..
2019. 11. 13.
13. Arduino - 압전 부저(Buzzer)의 원리, 소리와 주파수
Arduino 스타터 키트에, 압전 부저라고 불리는 소자가 하나 있다. 막상 그 모양새를 보면, "이 조그만한 게 소리를 낼 수 있다고?"라는 의문이 들 정도로 부저라는 이름과 어울리지 않는다는 느낌이 든다. 그러나, 회로에 연결해보면, 의외로 소리가 크다. 위의 사진과 같이, 모양은 매우 다양하며 크기는 이전 포스팅에서 언급했던 택트 스위치보다 약간 작은 크기다. 이 작은 녀석은 큰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는 능력 하나 덕분에, 대부분의 전자 알람 시계에 내장되어 있다. 압전 부저 역시, Arduino 회로에 연결해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전의 부품과는 다르게, 부저는 작동 과정을 이해하지 못한다면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는 코드를 작성하는 것이 상당히 난해하다. 따라서, 이번 포스팅은 압전 부저의 ..
2019. 11.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