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Linux - Umask, Set UID, Set GUI, sticky bit
1. umask 리눅스에서 root 계정으로 새로운 파일이나 폴더를 생성하게 되면, 아래의 그림처럼 파일은 644를, 폴더는 755 권한을 가지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렇다면, 파일과 폴더 생성 시, 디폴트 값으로 부여되는 권한은 어떻게 정해지는 것일까? Ctrl+l 키로 화면을 모두 깔끔하게 지운 뒤, umask 명령어를 입력하면, 4자리의 숫자가 나타나게 된다. 흥미로운 점은, root 계정으로 이 명령어를 실행했을 때와, 일반 계정으로 이 명령어를 실행했을 때 나타나는 출력 결과가 다르다는 점이다. root는 0022로, 일반 계정은 0002로 나타난다. 그렇다면 이 umask라는 녀석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다시 처음의 사진으로 돌아가서, root 계정으로 만든 파일과 폴더의 권한값을, uma..
2019. 12. 1.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새 글 쓰기 |
W
W
|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