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Python - 조건문(if, else, if-else)
이전 포스팅에서는 반복문을 통해, 구구단을 출력하는 과정에 대해 알아보았다. 코드의 실행 결과, 2단의 경우, 2 x 1 부터 2 x 9까지 연산값이 출력되었다. 그런데, 여러분들이 어떤 이유로 인해 2 x 5와 2 x 7의 값은 제외한 값이 출력되도록 코드를 수정해야한다고 요구를 받았다. 지금까지의 내용을 토대로, 2 x 5와 2 x 7 값을 제외하고 2단의 내용을 출력하고자 한다면, for 문을 사용할 수 없다. 2 x n 연산의 n 값이 제외되어야 하는 뚜렷한 규칙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2단 연산을 print() 함수로 일일이 입력하는 것은 효율적이지도 않을 뿐더러, 귀찮은 작업이다. 그렇다면, for 문을 대대적으로 수정하지 않고, 요구 내용을 충족시킬 수 있는 방법은 없을..
2019. 8. 26.
10. Python - 반복문 2. while문으로 구구단 출력하기
반복적인 코드를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만드는 반복문은, 지난 포스팅에서 언급한 for 문 외에, while문도 존재한다. 코드가 작동하는 알고리즘 자체는 for문과 다르지 않다. 하지만, for 문과 달리, list나 tuple을 사용하지 않고, 프로그래머가 정의한 특정 조건을 이용해 코드 반복을 유지한다.(처음 들으면 뭔 소린가 싶겠지만, 예제를 보면 바로 이해가 될 것이다) 그럼, while 문에서 사용한다는 저 조건들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우선, 조건의 생성에 필요한 비교 연산자 및 boolean이라고 불리는 자료형에 대해 먼저 알아야한다. 1. 비교연산자 말 그대로, 비교 연산자라는 것은 서로 다른 두 값을 비교할 때 사용하는 연산자를 말한다. 초등학교 수학시간 때 많이 배웠던 부등호, 등..
2019. 8. 20.
8. Python - 변수 자료형 3, Dictionary
List와 Tuple은, 순서 위치인 Index 값을 컴퓨터에게 알려줌으로써, 특정 값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값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표시하지 못한다. 예를 들어, 김철수라는 사람의 정보를 List 형태로 다음과 같이 나타내었다고 가정해보자. ======================================================================== KimCS_info = ["Kim", "Cheolsu", 39, , 12, "Gangnam, Seoul", "Goyang, Gyeonggi", "Republic of Korea", 800101, 040924"] ==================================================================..
2019. 8. 11.
5. Python - print() 함수 사용법 3
Format()을 이용한, 출력물 정렬. 1. {:number} -> 변수에 출력 공간 할당하기 이전 포스팅에서, 누군가의 성별, 나이, 주소를 입력받아 화면에 출력하는 내용을 진행했었다. 이제 이 예제를 조금 변형해서, 이름과 나이, 주소를 받는다고 가정해보자. 여러분들은, 누가 보더라도 한 눈에 알아보기 쉽게, 이름은 이름대로, 나이는 나이대로, 주소는 주소대로 열을 맞추고, 가운데 정렬을 적용하여 출력하고 싶어한다. 아래와 같이 말이다. ------------------------------------------------------- 김철수 21 서울특별시 강서구 박말순 24 경기도 고양시 이가탄 30 대전광역시 둔산구 .... --------------------------------------..
2019. 7.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