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Python73

13. Python - 메모장 등으로 프로그램 코드 작성하기 지금까지 필자가 python 코드를 실행하는 방식은, cmd 창에 python이라는 명령어를 입력하여 한 줄 한 줄 코드를 입력하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서는 코드들이 순차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만들어 줄 수 있어야하는데, cmd를 이용한 방식은 이렇게 진행하기가 매우 까다롭다. 따라서, 프로그래머들은 프로그래밍을 하는 도중에 자신의 코드가 잘 작동하는지 확인할 목적으로 cmd 창을 이용할 뿐, 그 외적인 부분에서 cmd를 이용해 코드를 작성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그럼, 프로그램이 작동하는 코드는 어디에 작성하는 것일까? 윈도우는 기본적으로 메모장이라고 불리는 텍스트 편집기를 제공한다. 원래 이 메모장은 프로그래머들이 코드를 작성하는 툴이었다. 따라서, 메모장에 파이썬 코드를 .. 2019. 10. 1.
12. Python - 반복문 제어. pass, break와 continue 문, 지난 포스팅에서, 반복문 안에 조건문을 작성하여 특정 조건과 일치하는 결과만 제외하는 프로그래밍을 만들어보았다. 조건문을 반복문 안에 사용함으로써, 구구단 2단 중 2x5와 2x7을 제외한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여러 방법이 있지만, 필자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해서 문제를 해결했다. =================================== dan = 2 n = 1 condition = (n==5 or n==7) while (n < 10) : if( condition ) : print("") else: print("{} x {} = {}".format(dan, n, dan * 2) n = n+1 =================================== 지금까지의 Python 포스팅 내용.. 2019. 8. 31.
11. Python - 조건문(if, else, if-else) 이전 포스팅에서는 반복문을 통해, 구구단을 출력하는 과정에 대해 알아보았다. 코드의 실행 결과, 2단의 경우, 2 x 1 부터 2 x 9까지 연산값이 출력되었다. 그런데, 여러분들이 어떤 이유로 인해 2 x 5와 2 x 7의 값은 제외한 값이 출력되도록 코드를 수정해야한다고 요구를 받았다. 지금까지의 내용을 토대로, 2 x 5와 2 x 7 값을 제외하고 2단의 내용을 출력하고자 한다면, for 문을 사용할 수 없다. 2 x n 연산의 n 값이 제외되어야 하는 뚜렷한 규칙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2단 연산을 print() 함수로 일일이 입력하는 것은 효율적이지도 않을 뿐더러, 귀찮은 작업이다. 그렇다면, for 문을 대대적으로 수정하지 않고, 요구 내용을 충족시킬 수 있는 방법은 없을.. 2019. 8. 26.
10. Python - 반복문 2. while문으로 구구단 출력하기 반복적인 코드를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만드는 반복문은, 지난 포스팅에서 언급한 for 문 외에, while문도 존재한다. 코드가 작동하는 알고리즘 자체는 for문과 다르지 않다. 하지만, for 문과 달리, list나 tuple을 사용하지 않고, 프로그래머가 정의한 특정 조건을 이용해 코드 반복을 유지한다.(처음 들으면 뭔 소린가 싶겠지만, 예제를 보면 바로 이해가 될 것이다) 그럼, while 문에서 사용한다는 저 조건들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우선, 조건의 생성에 필요한 비교 연산자 및 boolean이라고 불리는 자료형에 대해 먼저 알아야한다. 1. 비교연산자 말 그대로, 비교 연산자라는 것은 서로 다른 두 값을 비교할 때 사용하는 연산자를 말한다. 초등학교 수학시간 때 많이 배웠던 부등호, 등.. 2019. 8. 20.
9. Python - 반복문 1. for문으로 구구단 출력하기 "Life is short, you need python" 프로그래머들 사이에서, 파이썬의 빠른 개발 능력을 두고 파이썬을 표현할 때 언급하는 문구다. 조금 뜬금없지만, 이 문장을 print()함수를 이용해, 100줄 출력해보도록 하자. 인터프리터모드에서 100줄 출력을 하다보면, 코드 작성에 시간이 상당히 많이 소모된다는 단점 외에도, 100줄 이상을 실수로 출력하는 경우도 발생한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그럼, 컴퓨터가 100줄을 정확히 인식하고 반복적으로 문구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이러한 반복적인 작업의 처리를 위해 반복문이라는 것을 제공한다. 반복문은 크게 for문과 while 문이 존재하는데, 이번 포스팅에서는 for 문을 이용해 반복되는 .. 2019. 8. 13.
8. Python - 변수 자료형 3, Dictionary List와 Tuple은, 순서 위치인 Index 값을 컴퓨터에게 알려줌으로써, 특정 값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값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표시하지 못한다. 예를 들어, 김철수라는 사람의 정보를 List 형태로 다음과 같이 나타내었다고 가정해보자. ======================================================================== KimCS_info = ["Kim", "Cheolsu", 39, , 12, "Gangnam, Seoul", "Goyang, Gyeonggi", "Republic of Korea", 800101, 040924"] ==================================================================.. 2019. 8. 11.
7. Python - 변수 자료형 2, Tuple 지난 포스팅에 이어, 이번에는 Python의 변수 자료형 중 하나인 Tuple에 대해 살펴보려고 한다(이 녀석은 한글로 바꿀만한 적당한 단어가 생각이 안난다... 따라서 그냥 Tuple이라고 계속 명시할 것이다) 1. Tuple Tuple은 List와 굉장히 유사하다. 여러 개의 변수를 포함하며, 각 변수마다 다양한 변수값을 가질 수 있다는 것도 공통점이다. 외형상으로 나타나는 유일한 차이는 바로 괄호의 형태인데, Tuple은 아래와 같이 일반적인 소괄호를 사용함으로써 선언할 수 있다. ==================== 변수명 = ( 값1, 값2, 값3, ...) ==================== List와 마찬가지로, Tuple 또한 하나의 변수명으로 여러 개의 연관된 값을 가질 수 있다. 가령.. 2019. 8. 1.
6. Python - 변수 자료형 1, LIST(목록) 1. LIST(목록) 자료형 List, 우리말로 "목록"이라고 불리는 Python의 자료형에 대해 이번 포스팅에서 언급하려한다. 이미 출력과 관련된 포스팅 예제에서 한 번 사용한 적이 있기 때문에, 이 자료형의 생김새를 보더라도 크게 이질감이 느껴지지는 않을 것이라 생각한다. List 변수는 아래와 같은 형태를 가진다. ================== 변수명 = [ 값1, 값2, 값3, ...] ================== 지금까지, 여러 사람의 이름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방법들을 사용해왔다. 먼저 왼쪽의 방법을 사용함에 따라 나타나는 문제점을 보자. 왼쪽은 이름을 입력받는 사람의 수에 따라 변수의 갯수가 정해진다. 이러면, 자주 사용하지도 않는 변수들이, 메모리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2019. 7. 26.
5. Python - print() 함수 사용법 3 Format()을 이용한, 출력물 정렬. 1. {:number} -> 변수에 출력 공간 할당하기 이전 포스팅에서, 누군가의 성별, 나이, 주소를 입력받아 화면에 출력하는 내용을 진행했었다. 이제 이 예제를 조금 변형해서, 이름과 나이, 주소를 받는다고 가정해보자. 여러분들은, 누가 보더라도 한 눈에 알아보기 쉽게, 이름은 이름대로, 나이는 나이대로, 주소는 주소대로 열을 맞추고, 가운데 정렬을 적용하여 출력하고 싶어한다. 아래와 같이 말이다. ------------------------------------------------------- 김철수 21 서울특별시 강서구 박말순 24 경기도 고양시 이가탄 30 대전광역시 둔산구 .... --------------------------------------.. 2019. 7. 17.
4. Python - print() 함수 사용법 2 1. 연산을 이용한 문자열의 출력. 지난 포스팅에서, 1. Python의 print()함수는 크게 숫자형태와 문자형태를 출력할 수 있다. 2. 선언된 변수에 저장한 뒤, print()함수에 변수를 인자(함수의 괄호 안에 들어가는 값)로 넣어서 출력도 가능하다. 라는 내용을 언급했다. 그런데, 이번 포스팅의 첫 제목이 조금 이상하다. 연산을 이용한 문자열의 출력. "어?? 문자로는 연산을 할 수 없지 않나요??" 맞다. 우리가 아는 한도에서 ㄱ+ㅏ 가 "가"가 되지는 않는다. 가가 가가? 그럼 필자가 소제목에서 언급한 저 내용은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 Python 인터프리터 모드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해보자. --------------------------- print("I am a " + "boy") --.. 2019. 7. 9.
3. Python - print() 함수 사용법1 1. 프로그래밍 결과의 출력을 위한 print()함수 이전 포스팅에서도 잠깐 언급했던 질문이지만, 여기서 다시 질문해보겠다. 프로그래밍은 왜 하는 것일까? 머리 쓰기 귀찮아서 기계에게 일거리를 떠넘기기 위한 인간의 욕망이 표현된 물건일까? 어떻게 보면 그렇다. 과학 기술이 발달하면서 인간의 머리로는 계산하기 복잡한 수식이 너무나도 많아졌기 때문에. (이런 걸 보면 천문학자 케플러는 대단한 사람이다. 현재의 컴퓨터가 단 몇 초면 산출해내는 천체의 궤도 방정식을 몇십 년 동안 붙잡으면서 풀어냈다고 하니...) 이런 복잡한 계산을 풀게 할 목적으로 컴퓨터가 만들어졌고, 사람들은 자신이 알아내고자 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컴퓨터에게 명령을 내리는 프로그래밍을 시작하게 된다. 예를 들면, 필자가 x-3=6이 되는 .. 2019. 7. 3.
2. Python의 설치와 프로그래밍의 원리 나만의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서는, 프로그래밍에 필요한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이런 프로그램은 C, C++, JAVA 등등등 무수히 많은 종류가 있지만, 다 설치할 수는 없고... 이 포스팅의 목적에 맞게 Python만 설치를 진행해보려 한다. 설치후에는, 프로그램이 어떤 형태로 동작하는지도 간략하게나마 언급하려 한다. 1. 설치를 진행해보자. Python 프로그램은 www.python.org라는 파이썬 공식 사이트에서 무료로 받을 수 있다. 현재 3.7 버전이 최상위 버전이며, 홈페이지의 다운로드 탭 위에 마우스를 올리면 아래의 화면과 같이 window 용 Python을 다운 받을 수 있다. 다운받은 파일을 실행시키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난다. Install Now를 누르셔도 .. 2019. 7. 2.
728x90
반응형